필리핀 Wave

10분만에 필리핀 역사 이해하기 (필리핀 영웅, 스페인/미국 식민지배, 피플파워 혁명, 두테르테 대통령)

Velo Filipinas 2020. 7. 27. 20:49

딱 10분 정도를 투자해서 필리핀 주요 역사를 훑어보실 수 있도록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내용이 다소 길어 보일 수도 있는데 짧은 호흡으로 서술되어 가볍게 빠른 속도로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필리핀 역사를 크게 시대로 구분하면 1) 스페인 이전 시대, 2) 스페인 식민지배 시대, 3) 미국 식민지배 시대, 4) 제3공화국, 5) 마르코스 대통령 시대, 6) 제5공화국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부터 현재)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 연표를 통해 전체를 조망해 보시고 아래에서 하나씩 시대별로 살펴보겠습니다.


 

필리핀 역사 연표 / 출처: 필리핀개황(2019년11월), 외교부

 

 


1. 스페인 이전 시대 ( ~ 1571년)

2007년 필리핀 루존섬(마닐라가 위치한) 북부의 칼라오 동굴(Callao Cave)에서 최소 67,000년 전 인골이 발굴되었는데, 이로 인해 필리핀 역사는 최소 67,0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보기)

 

 

칼라오 동굴, 출처: https://www.sciencemag.org/news/2019/04/new-species-ancient-human-unearthed-philippines

 

기원전 약 3만년전에 네그리토(negrito)가 보르네오, 수마트라 등지에서 이주, 정착했고, 말레이계가 기원전후에 이주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14세기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이주해서 술루(Sulu) 군도의 Mindanao 섬 일대에 걸쳐 정착했고, Sultan 또는 Raja에 의해 지배되는 소규모 영토국가 성립했습니다. 

 

스페인 이전 필리핀 섬에는 산악과 섬으로 이루어진 지형적 여건에 따라 여러 부족국가들이 혼재하여 바랑가이(Branagay)라고 부르는 부락 공동체 형태로 존재하였고 통일된 국가가 형성된 적이 없었습니다. Barangay라는 말은 말레이어에서 Small Vessel (작은 배)를 뜻하는 Balangay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사전에서 의미 보기)

 

 

Barangay (작은 배) 이미지, 출처: http://mandirigma.org/?p=710

 

 


2. 스페인 식민지배 시대 (1571년 ~ 1898년)

1521년 마젤란이 필리핀 사말(Samar, 아래 지도에서 보시면 세부의 동쪽) 섬에 최초로 도착하면서 필리핀과 스페인의 역사는 시작됩니다. 

 

 

마젤란이 도착했던 사말 섬 위치, Google Map

 

 

마젤란이 필리핀 도착 당시에 십자가와 아기예수상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고, 관광객들이 세부 가면 한 번씩 방문하는 산토니뇨 성당(Basilica Minore del Santo Niño de Cebu)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마젤란 십자가와 아기예수상,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곧 마젤란은 스페인 왕에 대한 복종과 기독교 개종을 요구하는데, 당시 막탄 섬의 부족장 라푸라푸(Lapu Lapu)가 이를 거절하고, 이로 인해 1521년 4월 27일 스페인 군대와 세부 섬 원주민 세력과의 전투가 벌어졌고, 이 전투에서 마젤란은 죽게됩니다. (관련 블로그 "필리핀 세부 막탄 이야기 라푸라푸?" 보러가기.)

 

 

라푸파푸 동상, 출처: https://mycebu.ph/article/liberty-shrine-lapu-lapu-magellan/

 

 

이후 40여 년 동안 스페인 본국은 수차례 원정대를 필리핀 제도에 파견한 끝에, 1571년 마닐라를 스페인령 동인도의 수도로 정하면서 327년간의 식민지배가 시작됩니다. 필리피나스 섬(Las Islas Filipinas)으로 명명되었고, 이후 필리핀이라는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페인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운동은 1860년 스페인에서 내란이 발생되고 정세가 혼란해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스페인 저항운동을 이끌었던 인물이 바로 호세 리잘 (Jose Rizal, 아래 그림)입니다. 호세 리잘은 필리핀의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우리나라의 김구 선생님 정도의 느낌으로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호세 리잘 Biography(영어) 살펴보기)

 

 

호세 리잘, 출처: https://www.biography.com/political-figure/jos%C3%A9-rizal

 

 

초기 호세 리잘이 이끌었던 저항운동은 비폭력 운동으로 필리핀을 스페인의 일부로 인정하고 필리핀 사람에게 완전하고 차별 없는 지위를 보장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호세 리잘은 체포된 이후 마닐라 인트라무로스(Intramuros)의 산티아고 요새(For Santiago) 감옥에 투옥 중이다 1896년 12월 30일 공개 총살형을 당하게 됩니다. (좀 더 알고 싶으신 분은 "필리핀 독립운동의 아버지 호세 리잘"블로그를 함께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한편 호세 리잘의 비폭력 저항운동이 성공할 수 없다는 인식에 기반해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Andres Bonifacio)는 1892년에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 함께 비밀결사 조직 카티푸난 (Katipunan, KKK)을 결성합니다. 이들은 1896년 8월 29일 푸가드 라윈의 통곡 (cry of pugad lawin)이라는 이름의 무장봉기를 시작했으나 실패하고, 스페인 정부는 이 무장봉기의 주도자로 호세 리잘을 지목하고 처형하는 빌미가 되게 됩니다. 보니파시오는 1897년 카티푸난 내 에밀리오 아기날도와의 노선 투쟁에 밀려 반대파에 의해 처형당합니다. (추가적으로 [필리핀 역사 뒷이야기] 톤도 출신의 위대한 평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카티푸난(KKK) 블로그 룰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5페소 동전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출처: http://philsalgi.com/xe/Philippines_Info_BD/38748
Bonifacio Monument, 출처: https://news.abs-cbn.com/news/multimedia/photo/07/13/19/picture-worthy

 

 

1898년 5월 1일 스페인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게 되고,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 장군은 같은 해 6월 12일 필리핀의 독립을 선언하고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됩니다. (아기날도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카비테 카윗, 에밀리오 아기날도 박물관"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출처 https://www.thefamouspeople.com/profiles/emilio-aguinaldo-8882.php

 

 


3. 미국 식민지배 시대 (1898년 ~ 1946년) 

1898년 12월 10일 미국・스페인 간에 맺어진 강화조약 (파리조약)에서 미국은 스페인에게 2천만 불의 대가를 지불하고 필리핀을 이양받게 됩니다.  미국의 강압적 통지에 반발한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1901년까지 무장운동을 계속합니다. 그해 3월 아기날도 대통령이 체포되면서 무장운동 동력이 상실됩니다. (파리조약과 관련해서는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독립선언과 미국의 배신" 블로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거 같습니다.)

 

이후 미국은 의회 선거를 실시(1907년)하고 양원제를 도입(1916년)하는 등 필리핀의 점진적인 자치를 허용합니다. 그리고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시기에 필리핀의 값싼 농산물과 노동력 유입에 반대하면서 독립에 대한 기류가 형성되었고 1934년 Tydings McDuffie Act(타이딩스 맥더피 법)에 따라 10년 후 완전 독립 약속합니다. 이에 따라, 1935년 11월 15일 필리핀 자치 정부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가 수립되고 2대 마뉴엘 케손(Manuel L. Quezon) 대통령이 취임하게 됩니다. 

 

 

20페소 지폐, 마뉴엘 퀘손 대통령, 출처 http://kor.theasian.asia/archives/96085

 

 

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1년 12월 일본은 필리핀 미군 기지를 급습을 했고, 이후 1942년 5월 미군이 항복함으로써 일본의 필리핀 지배가 시작됩니다. 일본은 1943년 10월 14일 제3대 호세 라우렐(Jose P. Laurel) 대통령을 앞세운 괴뢰정권을 통해 필리핀을 통치하게 됩니다. (두산백과에서 "괴뢰정권" 뜻 알아보기)

 

미국은 1944년 맥아더 장군의 레이테(Leyte) 섬 상륙작전을 성공하면서 일본과의 전면전을 개시하고 1945년 9월 2일 마침내 일본군은 항복하고 필리핀에서 철수하면서 일본의 지배는 종료됩니다. 

 

 

레이테 섬에 상륙하는 맥아더 장군과 세르지오 오스메냐 대통령,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D%B4%ED%85%8C_%EC%A0%84%ED%88%AC

 

 

1945년 2월 3일 맥아더 장군은 세르지오 오스메냐 (Sergio S. Osmena) 대통령에게 자치 정부를 이양하고, 1946년 4월 당선된 마뉴엘 로하스 (Manuel A. Roxas) 대통령의 필리핀은 7월 4일 완전한 독립을 이루게 됩니다. 

 

 

50페소 지폐속 세르지오 오스메냐 대통령, 출처 https://moneycollection.tistory.com/1382

 

 


4. 제3공화국 (1946년 ~ 1965년)

제3공화국은 5대 마뉴엘 로하스부터 9대 마카빠갈 대통령까지 시기를 말합니다. 그중 로하스 대통령과 막사이사이 대통령에 대해서만 살펴보고자 합니다. 

 

 

100페소 지폐속 마뉴엘 로하스 대통령,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eburaonu&logNo=22094673773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독립 이후 첫 번째 대통령인 마뉴엘 로하스는 신생 독립국으로서 경제를 살리고, 전쟁으로 망가진 국가를 재건하고자 했습니다. 이 시기에 향후 미국과 필리핀의 관계를 정의하는 두 가지 역사적 사건(필리핀 무역법과 미군기지 협정)에 대해서 이해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1946년 미 의회는 필리핀 무역법 (Philippine Trade Act of 1946)을 제정합니다. 이 법은 많은 필리핀 국민들의 반대가 있었으나 재건을 위한 재원 확보와 권력자들의 이권에 대한 욕심으로 로하스 정부는 이를 수용합니다. (관련 블로그 "필리핀 역사를 만들어 온 주요 법률 개정안" 보기

 

군사적으로는 필리핀과 미국은 1947년에 미군기지 협정을 체결하는데, 99년간 미군 기지 임대를 보장한다는 내용으로 필리핀이 미군의 반공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질적인 독립을 달성하지 못했다고 보기도 합니다. (참고 - 1991년에 이 협약은 폐지되면서 미군이 전면 철수하게 됩니다. 이후 협상을 거쳐 2014년 양국 간 방위협력 강화협정-ECDA가 새로 체결됩니다)

 

 

타임지, 막사이사이 대통령, 출처 Google Art & Culture

 

 

1953년 대선에서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막사이사이(Ramon Magsaysay)가 대통령으로 당선됩니다. 아시아의 노벨평화상이라고 부르는 "막사이사이 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대통령 궁에서 농민들을 위한 만찬을 여는 등 ‘서민들의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토지개혁을 포함한 농촌개혁을 시도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고 또한 필리핀 자생적 공산주의 운동인 후크발라합(Hukbalahap) 무장세력을 공식적으로 진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5. 마스코스와 피플파워 (1965년 ~ 1986년)

드디어 필리핀 근현대사에서 가장 유명한(?) 마르코스 (Ferdinand Marcos) 대통령 시기를 살펴볼까 합니다. 필리핀에 대해 관심이 전혀 없는 분들도 마르코스 대통령과 이멜다 여사에 대해서는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마르코스 대통령과 이멜다 여사, 출처: http://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32942.html

 

1965년 11월 대선에서 마카빠갈 대통령을 누르고 당선된 마르코스 대통령은 세제를 개편하고 차관을 유치하여 국가 재정을 안정화시키고 인프라 투자로 경제발전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를 통해 1969년 재선에 성공하지만 경제 침체, 빈부격차 심화, 부정부패 만연으로 대중들의 개혁 요구가 분출하면서 정국 혼란이 지속됩니다.

 

1972년 9월 국가 전복 세력에 대처한다는 명분으로 마르코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의회 해산시키면서 행정권과 입법권을 모두 장악하는 1인 독재 체제를 구축합니다. 이후 언론장악 및 선거조작으로 1986년까지 장기 집권하게 됩니다. 

 

국민들의 마르코스 정권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1983년 8월 21일 야당 지도자 니노이 아키노 전 상원의원(Benigno S. Ninoy Aquino Jr.)이 마닐라 공항에서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니노이 아키노는 계엄령 직후 체포되었다가 미국의 추방되며 망명생활을 마치고 귀국하던 날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마르코스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이 폭발하는 계기가 만들어집니다. (관련 국내 기사 "마르코스 부하의 과잉충성, 정권의 몰락 재촉하다" 보기)

 

 

니노이 아키노 상원의원, 출처 https://newsinfo.inquirer.net/631587/ninoy-aquino-was-no-trapo-qc-vice-mayor-belmonte
니노이 아키노 장례실 행렬, 출처: Time, ABS-CBN 뉴스에서 재인용, https://news.abs-cbn.com/blogs/opinions/08/24/14/ninoy%E2%80%99s-funeral-was-day-filipinos-stopped-being-afraid-dictators

 

 

마르코스 대통령은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1987년 예정된 대선을 앞당겨 1986년 2월 7일 조기 선거를 실시하게 됩니다. 이 선거에 니노이 아키노의 부인 코라손 아키노 (Corazon Aquino) 출마하여 반 마크로스 캠페인으로 국민 대다수의 지지를 얻었고, 민간 선거감시단체인 <자유선거를 위한 전국운동>과 공식적인 투표 입회인들은 코라손 아키노가 약 80만 표 차로 승인했다고 발표했지만, 마르코스 대통령의 영향 아래 있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월 16일 마르코스가 승리했다고 발표하게 됩니다. 

 

 

타임지, 코라손 아키노 & 마르코스 대통령, 출처 Google Art & Culture

 

 

부정 선거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1986년 2월 22일 EDSA 도로를 가득메운 피플파워 (People Power) 혁명의 발발로 이어집니다. 카톨릭 교계가 아키노를 지지하고 미국도 마르코스 대통령을 비난하자 2월22일 엔릴레(Enrile) 국방장관과 라모스 군 부총사령관이 더 이상 마르코스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합니다.

 

2월 25일에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 취임선서에 나서면서 많은 마닐라 시민들에 의해 말라카냥 궁전을 포위당한 마르코스 부부는 미군의 도움으로 탈출하고 하와이로 망명함으로써 약 20년간 이어진 마르코스 독재시대는 막을 내리게 됩니다. 

 

 

1986년2월25일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취임선서, 출처: https://kahimyang.com/kauswagan/articles/959/today-in-philippine-history-february-25-1986-corazon-c-aquino-and-ferdinand-e-marcos-were-sworn-in-as-presidents-of-the-philippines

 

 

1986년 2월 26일 MBC 뉴스 다시 보기   

 

[오늘 다시보기] 필리핀 20년 독재 종식(1986)

33년 전 오늘,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전격 사임하고, 부인 이멜다와 함께 미국 망명길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MBC 뉴스/1986년 2월 26일] "제...

imnews.imbc.com

 

6. 제5공화국 (1987년 ~ 현재)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취임 후 1987년 2월 2일 6년 대통령 단임제를 근간으로 하는 헌법 개정안이 통과시켜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1987년 2월2일 KBS 뉴스 "필리핀 헌법 개정 국민투표 오늘 실시"

 

필리핀 헌법개정 국민투표 오늘 실시

 

d.kbs.co.kr

 

임기중에 전 정권에 반대 인사들을 대거 사면시키는 정책을 펼쳤으나 의회를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면서 강력한 리더십을 구축하지는 못했습니다. 임기중에 7번 쿠데타 미수에 휩쓸렸고, 1989년에는 군 반란 사건이 일어나게 되고 미군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진압하는 데 성공합니다.  

 

 

500페소 지폐,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니노이 아키노 상원의원 부부, https://moneycollection.tistory.com/1379

 

 

이후 라모스(Fidel Ramos) 대통령 및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 대통령이 국민의 직선으로 선출됩니다. 그러나 에스트라다 대통령의 부정부패와 국정수행 능력 부족 등의 이슈로 제2차 피플파워 혁명이 발생하게 됩니다. 불법 도박업자들로부터 800만 달러의 뇌물을 받고 또 400만 달러의 담뱃세를 착복한 혐의로 탄핵의 대상이 됐습니다. (관련 뉴스 2000년 11월 6일 MBC "필리핀 에스트라다 대통령 궁지 몰려")

 

2001년 1월 17일 시작된 2차 피플파워 혁명은 에스트라다 대통령의 사임하고 1월 20일 후임 아로요 (Gloria Macapagal Arroyo)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종료됩니다. 참고로 아로요 대통령은 제9대 디오스다도 마카파갈(Diosdado Pangan Macapagal) 대통령과 부녀 관계입니다. 

 

 

2차 피플파워 혁명, https://flatrock.org.nz/topics/money_politics_law/epifanio_de_los_santos_avenue.htm

 

 

아로요 대통령은 정권 초기 에스트라다 지지세력의 반정부 시위를 성공적으로 진압하여 정권 안정을 도모하고 2001년 5월 총선에서 상, 하원의 과반수를 확보하는 등 국민들의 신임을 확보합니다. 이를 통해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연임하게 됩니다. 

 

그러나, 2005년 이후에는 2004년 대선 결과 조작 의혹 및 가족의 비리 의혹 등으로 야당이 대통령 탄핵을 추진하면서 정치적 위기에 봉착하고 2007년 중국 차관 사업인 국가 광대역 통신망(NBN) 사업 및 북부철도 재건사업 관련 비리, 반군들에 의한 페닌슐라 호텔 점거, 베네시아(Jose de Venecia) 하원의장과의 관계 악화 등 정치적 악재가 발생하며 아로요
대통령의 국정운영 추동력 저하됩니다. 

 

2010년 5월 베니그노 아키노 상원의원이 대통령에 취임합니다. 베니그노 아키노 대통령은 앞서 설명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과 니노이 아키노 전 상원의원의 아들입니다.

 

2010년 5월 11일 SBS "필리핀 대선에서 세계 최초 '모자 대통령' 탄생"

 

필리핀 대선에서 세계 최초 '모자 대통령' 탄생

어제 치러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의 아들 아키노 의원의 당선이 사실상 확정됐습니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모자 대통령이 탄생하게 된 겁니다.정유미 기자입니다.

news.sbs.co.kr

 

취임 이후 부패 청산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진실 위원회’를 구성하고 아로요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에 임명한 공직자들을 사퇴시키는 한편, 비리 의혹이 제기된 관급 공사 계약을 파기하는 등 개혁 드라이브를 적극 전개합니다.

 

또한 필리핀의 열악한 인프라 개발을 위해 민간투자를 활용하는 민관협력사업(PPP : Public-Private Partnership), 일자리 창출, 빈곤 감소 등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여 임기 내 연평균 6.2%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는 등의 성과도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실업률 및 빈곤율 감소에는 실패하였고 인프라 구축도 충분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법을 초월한 범죄자 처형과 부패 척결을 내세운 로드리고 두테르테 (Rodrigo Roa Duterte)이 16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2022년까지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2016년 5월 10일 KBS 뉴스 ‘필리핀 트럼프’ 두테르테 후보 대선 승리

 

‘필리핀 트럼프’ 두테르테 후보 대선 승리

<앵커 멘트> 어제(9일) 실시된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필리핀판 트럼프로 불리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다바오시 시장이 사실상 당선됐습니다. 법을 초월한 범죄자 처형과 부패 척결을 내세우며 ��

news.kbs.co.kr

 

2016년 9월 6일 시사저널 "두테르테 통치의 뿌리는 마르코스에 있다" 

 

두테르테 통치의 뿌리는 마르코스에 있다 - 시사저널

마약범 2000명이 죽었고, 70만 명이 자수했다. 법보다 주먹을 내세운 두테르테는 세계적 인물이 됐다. 그는 ‘새로운 변화’를 필리핀에 가져올 것이라고 약속하며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그의 통��

www.sisajournal.com


 

※ 주요 참고 자료 및 사이트  

1. 필리핀 역사,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2011

2. 필리핀 개황, 대한민국 외교부 동남아 1과, 2019 

3. 필리핀이 궁금하신가요? 역사, 필리핀 관광부 웹사이트

4. 한국과 필리핀 건국의 핵심 과제와 대통령(들) 비교: 이승만 대 케손 등,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류석춘, 조정기